취득의 주요 방식:
- 매매: 부동산을 돈을 주고 구입하는 형태로, 가장 일반적인 취득 방법입니다.
- 상속: 사망한 사람의 재산을 상속받아 취득하는 경우.
- 증여: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부동산을 받는 것.
- 경매: 경매 절차를 통해 부동산을 낙찰받아 취득하는 방식
부동산 취득은 등기 등록 하지 않더라도 사실상취득 하면 취득 한것으로 본다
1. 유상거래 취득
계약상 잔금 지급일 > 잔금지급명시x 계약일로 부터60일 취득
계약 해제된 사실 입증 > 취득x
※개인<거래>법인 주택 취득시 잔금지급일이 취득일 계약해제x
개인간 거래의계약해제시 입증서류
1)화해조서,인낙조서(취득일로부터60일 이내에 계약해제 사실입증
2)공정증서(공증인 인증한 사서증서 포함, 취득일로부터60일이내 공증받은거
3)계약해제신고서(취득일로부터60일이내에 제출된 것)
4)거래신고 관련 법령에따른 부동산거래 계약해제 등 신고서(취득일로부터60일이내에 등록관청에 제출된거)
2. 무상승계 취득
무상승계 취득 > 계약일(상속 또는 유증 으로 인한 취득 > 개시일에 취득
※취득 등기, 등록x >계약이 해제된 사실입증 > 취득하지 않은것으로봄
3.신축 취득
건축물 건축 취득 > 사용승인일,임시사용승인일 중 빠른날 취득일
부동산 취득 시 발생하는 세금 중 하나로, 취득세는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는 순간 발생합니다.
취득세는 부동산의 거래 가격, 종류, 지역 등에 따라 다르게 부과되며, 주택의 경우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취득세 외에도, 부동산 취득 시 양도소득세, 종합부동산세, 재산세 등의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
- 주택 취득세율:
- 1주택 보유자: 1~3% (취득가에 따라 차등)
- 2주택 이상 보유자: 8%
- 3주택 이상 보유자 또는 법인: 12%
취득세과세 표준, 세율 (유상취득)
취득세의 과세 표준은 취득당시 가액
취득세 적용세율 (아파트 6.5억구매) > 6 ~ 9 억 세율 3%
※(650,000,000 * 2/300,000,000 - <" 3 " 세율> )*1/100 = 1.33
650,000,000 * 2 = 1,300,000,000
1,300,000,000 / 300,000,000 = 4.3333
4.333 - 3 = 1.3333
1.3333 * 1/100 = 0.0133333
650,000,000 * 0.0133 = [8,645,000] < 취득세
부동산 실투자금 비용 계산법
낙찰가(매매가) + 취득세 + 각종비용( 등기, 명도 , 이자) - 대출 - 임대 보증금
= 실투자금
※ 내 투자금 을 절대 잃어서는 안됩니다!!! (별5개!! 매우 중요) 저렴하다 해서 구매 해서 안되고 거래량도 확인 해야 합니다. 투자금 계산과 매도후 비용 을 잘 계산 하여야 수익을 예상할수 있습니다.
내가 잘 알고 있는 지역 부터 넓혀 나가는걸 추천해드립니다.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투자 같이 공부하기 < 기초 1 > 수익편 (1) | 2024.10.15 |
---|---|
부동산 이 정도는 알고 시작하자 (기초) (13) | 2024.10.08 |